글개요 : 태권도의 기본발차기 중 가장 어려운 돌개차기(턴차기)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다. 어렵고 복잡한만큼 다양한 원리들이 숨어있다. 또한 다양한 원리 때문에 문제점도 많이 나타난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턴차기의 다양한 원리들을 알아보고 그것을 제대로 시행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설명할 것이다. 지금부터 턴차기 설명 시작할게요!!
턴차기(돌개차기)의 원리 [구간별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라] |
태권도용어로는 돌개차기, 통상적으로는 턴차기라고 부른다. 회전을 이용하여 차는 기본발차기으로써 발등을 이용해서 타격하는 공격기술이다. 가격 부위는 몸통과 얼굴이 대표적이다. 태권도의 기본발차기 중 난이도가 가장 높은 발차기이고, 태권도 회전발차기에 자주 응용된다. 턴차기(돌개차기)는 크게 스텝, 지면회전, 외발점프, 공중회전으로 4가지 구간으로 나뉘어진다. 스텝은 회전에서 필요한 힘을 만들어오는 과정이다. 직선으로 받아오는 힘의 관성을 스텝을 통해 지면회전구간으로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지면회전 구간은 스텝으로 받아 온 관성의 힘을 축고정을 통해 회전력으로 바꿔주는 구간이다. 원심력을 줄이고 구심력을 올리면서 회전의 힘을 증가시키는 구간이다. 다음으로 외발점프구간은 스텝과 지면회전에서 만들어진 회전 힘을 이용해 체공을 만들어 내는 구간이다. 턴차기(돌개차기)에서 힘을 전환시키기 가장 어려운 구간이다. 그 이유는 상체와 하체의 적절한 힘 타이밍과 힘의 조율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공중회전구간이다. 이는 앞선과정들을 잘 이행했다면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구간이다. 외발점프를 하면서 만들어낸 하체의 고정력을 바탕으로 팔을 몸쪽 가까이 붙혀주면서 회전력을 만들게 된다. 이때 회전을 더 강하고 더 빠르게 만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동작이 필요하다. 그 동작은 바로 태권도 돌쩌귀동작이다.
턴차기(돌개차기) 문제점 해결 [파트별 문제점들을 세분화해서 연습하라] |
턴차기(돌개차기)에서의 문제점들은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대표적인 문제점들을 살펴볼것이다. 첫번째는 스텝구간에서 관성을 막지 못해서 전방으로 날아가는 문제이다. 힘은 외부에서 저항을 받지 않고선 힘의 방향과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다. 이는 회전을 하기 위해 받아오는 힘이 회전으로 바뀌지 못하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스텝구간만 따로 연습하면서 해결할 수 있다. 자신의 무게보다 무거운 중향을 이용해 스텝구간까지 이동하여 버티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이는 만달어진 힘을 통제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옮겨줄 것이다. 스텝구간에서 관성을 잘 통제하면 다음단계로 힘을 전달시킬 수 있다. 잘 전달된 힘은 지면회전의 힘을 만들어낸다. 두번째 문제는 지면회전의 기울기이다. 지면회전에서는 팔을 이용한 상체의 기울기를 조절해야한다. 기울기를 조절하지 못하게 되면 팔이 수평상태를 벗아나거나 팔의 힘에 의해 상체가 과하게 접어지거나 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두번째문제는 팔을 연결시켜줄 수 있는 막대기 또는 훌라후프,wallball 같은 소도구를 활용해 효율적인 지면회전 동작을 만들 수 있다. 세번째는 외발점프이다. 외발점프에서는 타이밍이 가장중요하다. 점프를 도와주는 보조발, 점프를 하는 발, 상체는 같은 타이밍에 힘을 사용해야 효율적이다. 점프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많은 힘을 쓰고도 높은점프를 할 수 없다. 이런 문제점은 최대점프보다는 타이밍에 맞춘 점프훈련의 선행이 있어야 보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공중회전구간이다. 공중회전에서는 당기는 힘이 중요하다. 점프를 위해 사용했던 팔의 벌림동작을 몸쪽으로 붙혀주는 움직임이 있어야한다. 이때 회전을 하는 방향쪽의 당김의 힘이 중심이되어 움직임이 만들어져야한다. 그렇지 못할경우 지면으로부터 제공받던 안정성이 점프를 하면서 사라졌기 때문에 회전축이 무너지게 된다. 이런 문제는 점프를 하지 않고 바닥에 발을 그대로 고정시켜놓은 상태로 상체의 움직임동선을 미리 연습해보면서 수정할 수 있다.
턴차기의 응용 [턴차기는 회전발차기의 기초] |
턴차기는 겨루기 상황에서는 상대와의 거리를 단시간에 좁히면서 고득점을 낼 수 있는 발차기로 활용된다. 회전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힘으로 상대에게 강한 타격을 줄 수 있는 발차기이다. 대표적으로 턴차기(돌개차기)를 잘 활용했던 겨루기선수는 터키의 서베트 타제굴 선수가 있다. 회전을 활용해서 찰 수 있는 다양한 발차기를 구사했던 선수 중 한명이다. 그리고 태권도 시범에서는 회전발차기의 핵심적인 기본발차기로 활용된다. 외발턴, 540도 뒤후려차기, 720도 돌려차기, 900도 뒤후려차기, 1080도 돌려차기와 같은 기술발차기를 진행할 때 체공시간을 확보하고 발차기의 질을 향상키실 수 있는 발차기이다. 또한 역회전돌려차기(역턴)과 같은 기술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그리고 격파부분에서는 연속적인 턴차기(돌개차기)로 격파를 하기도 한다. 그리고 여러표적을 격파하는 다방향 격파에서도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상대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고 빠르게 직선방향으로 뛰어가며 진행하는 '속도일렬' 격파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발차기이다. 턴차기(돌개차기)는 효율적인 동작을 만들어내기까지 오랜시간이 걸리는 발차기이다. 하지만 한번 만들어지고 나면 태권도의 다양한 파트에서 활용되는 발차기라 수련생들의 투자 가치가 충분한 태권도발차기라 생각된다.
'태권도X파일 [태권도 발차기의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후려차기 기본 발차기 태권도 원리, 문제점 해결, 응용 (0) | 2023.02.18 |
---|---|
뒤차기 태권도 기본발차기 원리, 문제점해결, 응용 (0) | 2023.02.18 |
옆차기 태권도 기본발차기 원리, 문제해결, 응용 (0) | 2023.02.09 |
태권도 기본 발차기 돌려차기 원리, 문제점 해결, 응용 (0) | 2023.02.06 |
태권도 기본 발차기 앞차기 원리, 문제점 해결, 응용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