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개요 : 태권도의 기본 발차기인 뒤후려차기의 기본적인 원리들을 살펴본다. 뒤후려차기는 태권도 기본발차기 중 가장 화려한 발차기이다. 퍼포먼스적으로 난이도가 높다 보니 발차기를 차는 동안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아래에 소개될 내용은 뒤후려차기를 효율적으로 차기 위한 원리 및 대표적인 문제해결 그리고 뒤후려차기의 응용동작을 살펴볼 예정이다.
뒤후려차기의 원리 [ 상,하체의 꼬임을 적극 활용하라 ] |
뒤후려차기는 태권도 기본발차기 중 가장 화려한 발차기이다. 뒤를 돌아보는 힘을 이용하여 차는 기본발차기로 발바닥 또는 뒤꿈치를 사용하여 타격한다. 타격위치는 얼굴이 중점적이다. 뒤후려차기는 상체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는 발차기로서 하체의 강한 고정을 필요로 한다. 하체의 강한 고정이 가능하면 상체가 회전될 때 꼬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꼬임이 풀리면서 뒤후려차기의 힘이 만들어지게 된다. 스텝을 사용하여 차는 뒤후려차기와 스텝을 사용하지 않는 뒤후려차기로 크게 나누어진다. 원리면에서는 크게 차이는 없지만 시작 전 꼬임을 만들어내는 타이밍이 다르다. 뒤후려차기는 3번의 꼬임을 연속적으로 만들어낸다. 스텝이 고정되어 있을 때는 상체를 이용하여 복부의 꼬임을 만들어낸다. 이 꼬임이 풀리면서 첫 회전힘이 발생한다. 그 회전 힘을 이용하여 2차적인 꼬임을 다시 발생시킨다. 2차적인 꼬임은 뒤후려차기의 발차기 준비동작 부분에서 만들어진다, 뒤후려차기의 준비동작 자세는 무릎을 들어오리는 동작을 말한다. 발차기 준비동작까지의 꼬임이 만들어지면 발차기를 뻗어내는 타이밍에 마지막 3차 꼬임을 만들어 낸다, 3차 꼬임까지 만들어내게 되면 뒤후려차기는 완성된다. 그렇게 뒤후려차기는 하체의 고정을 기반으로 상체의 꼬임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핵심적인 원리이다.
대표적인 문제점 해결 [ 꼬임에 방해되는 요소들을 제거하라 ] |
뒤후려차기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꼬임을 만들지 못하는 것이다. 꼬임을 하체의 정상적인 고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고정된 하체를 기반으로 상체는 반대회전을 만들어주면서 복부의 꼬임을 만들어 낸다. 복부의 꼬임이 플리는 과정을 이용해서 다음꼬임을 연속적으로 만들어내게 된다. 그래서 꼬임을 만들어내지 못하면 뒤후려차기에서 사용하는 효율적인 힘은 생성되지 않는다. 생성되지 못한 힘은 다른 동작을 통해서 만들어내야한다. 이는 뒤후려차기의 완성도를 떨어뜨린다. 상체와 하체가 꼬임을 만들어 내야 하는 타이밍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만들게 되면 꼬임이 발생되지 않아서 상체를 접어야 하는 문제점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문제는 정상적인 꼬임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다음 꼬임으로 넘어가는 연습을 필요로 한다. 만약에 연속적인 꼬임이 안될 시 부분적인 꼬임을 따로따로 만들어 내고 통합적인 동작을 실시해야 한다. 다음으로 거론되는 문제로는 뒤후려차기를 차기 전 발생시키는 회전의 양이다. 반대회전을 만들어서 힘을 생성하는 뒤후려차기는 너무 강한 회전을 만들어내게 되면 다음 회전에서 데미지를 받게 된다. 즉 방해를 받는 것이다. 그래서 다음 꼬임이 가능한 정도 내에서 회전의 힘을 만들어 내야 한다. 이 문제 또한 부분적인 연습을 토대로 통합적인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추천한다.
뒤후려차기의 응용 [ 회전발차기의 마무리 ] |
난이도가 높은 기본발차기 중 하나이다 보니 수련생들이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부분동작연습이 필수적이다. 첫 통합적인 동작으로는 앞후려차기가 있다. 앞후려차기가 가능해지면 뒤로 돌어보는 동작과 앞후려차기 동작을 합치면 뒤후려차기가 완성이 된다. 뒤후려차기는 태권도시범파트에서 회전발차기 마무리로 활용된다. 또한 뒤후려차기는 태권도시범파트에서 연속적인 동작에 마무리 동작으로 자주 사용된다. 대표적인 발차기로는 양발점프를 이용한 양발점프뒤후려차기, 한 발 점프를 이용한 한 발 점프뒤후려차기, 540도 뒤후려차기, 900도 뒤후려차기 등등이 있다. 꼬임을 활용한 움직임이다 보니 회전발차기에서 주로 사용된다. 겨루기파트에서는 큰 동작이다 보니 공격보다는 방어동작으로 많이 사용한다. 상대방이 반대 스텝자세에서 돌려차기를 사용하여 공격할 경우 방어목적으로 사용되는 발차기이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아테네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문대성 선수의 뒤후려차기를 예시로 들 수 있다. 대부분 얼굴을 타격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뒤후려차기는 화려함도 가지고 있지만 회전력을 활용하기 때문에 강력한 발차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겨루기파트에서는 뒤후려차기를 사용하여 K.O승을 거두는 경우도 많다. 뒤후려차기가 퍼포먼스적인 동작이다 보니 정적이고 끊어지는 느낌이 강한 태권도품새에서는 활용되지 않는다.
'태권도X파일 [태권도 발차기의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권도 기본발차기 턴차기 원리, 문제점 해결, 응용 (0) | 2023.02.18 |
---|---|
뒤차기 태권도 기본발차기 원리, 문제점해결, 응용 (0) | 2023.02.18 |
옆차기 태권도 기본발차기 원리, 문제해결, 응용 (0) | 2023.02.09 |
태권도 기본 발차기 돌려차기 원리, 문제점 해결, 응용 (0) | 2023.02.06 |
태권도 기본 발차기 앞차기 원리, 문제점 해결, 응용 (0) | 2023.02.05 |
댓글